top of page
Home

VMWARE VM에 CentOS 설치

  • 작성자 사진: 김영찬
    김영찬
  • 2022년 3월 23일
  • 2분 분량

VMware Workstation 16 Player를 설치한뒤 가상머신에 CentOS 7.9 버전을 설치하고 Cloudera Hadoop을 위한 기본 설정을 하는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CentOS 경로, 설치 위치, 메모리, 디스크 크기, CPU Core 수 등은 설치하는 환경에 맞춰서 적절히 조정해서 설치하여야 합니다.



  • VMWare Workstation 16 Player 실행

    1. Create a New Virtual Machine

    2.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

    3. Linux, Version(CentOS 7 64-bit)

    4. Virtual machine name(Hadoo1_CentOS 7.9), Location(E:\VMware\CDP)

    5. Maximum disk size(80),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

    6. Customize Hardware 클릭

    7. Memory(16GB) , Processors(8)

    8. New CD/DVD -> Use ISO image file(CentOS iso path)

    9. Network Adapter(Bridged)

    10. Finished

  • VM 생성 완료

    1. Play virtual machine(CentOS installation)

    2. Install CentOS 7

    3. Enter

    4. 한국어

    5. 소프트웨어 선택(개발 및 창조를 위한 워크스테이션) , 추가개발/개발용 툴/시스템 관리 도구 check -> 완료

    6. 설치 대상

    7. 파티션을 설정합니다/디스크 체크 클릭 -> 완료

  • 소프트웨어 선택에사 "추가개발" 항목 필수 체크후 설치

(아니면 JDK가 아닌 JVM만 설치됨)

  • 새로운 CentOS 7 설치

    1. LVM이 아닌 표준 파티션으로 선택

    2. + (/boot, 2G), 마운트 지점 추가, 표준파티션/ext4

    3. + (swap, 8G), 마운트 지점 추가, 표준파티션/swap

    4. + (/, 나머지 전체), 마운트 지점 추가, 표준파티션/ext4 ->완료 -> 변경 사항 적용

    5. 네트워크 및 호스트명 -> 호스트 이름(hadoop1.futuresoft.co.kr, 적용)

    6. 이더넷(켬) -> 설정 -> IPv4 설정

    7. 방식(수동), 주소(Add,) -> 192.168.0.154/255.255.255.0/192.168.0.1 -> DNS 서버(168.126.63.1, 168.126.63.2) -> 저장 -> 완료

    8. 설치시작 -> CentOS 7.9 시작, ROOT 암호 설정 -> 완료, 사용자 생성(이 사용자를 관리자로 합니다) -> 완료

    9. CentOS 7.9 설치 종료 -> 재부팅

  • LICENSING INFORMATION -> 약관에 동의합니다. check -> 완료

    1. 설정완료 -> 재부팅

    2. 로그인 화면 -> 목록에 없습니까 -> 사용자 이름(root), 암호

    3. 초기 환영 -> 터미널 열기(hostname 확인) -> 설정 -> 전원 -> 빈 화면(암 함), 네트워크 설정확인

  • 한글입력기 설정 : 최초 로그인시설정에서 한국어(Hangul)을선택하지 않은경우

    1. 설정 -> 지역 및 언어 -> 추가(+) -> 한국어 -> 한국어(Hangul) 선택 추가

    2. 한국어(Hangul) 선택 -> 설정(톱니바퀴) -> Hangul toggle key --> 한글 입력시 toggle key(Shift + Space) 확인

    3. 메뉴줄 우측 'ko' 클릭 -> 한국어(Hangul) 선택 -> '한' 표시 -> Shift + Space로 전환 후 한글 입력(한영 toggle)

  • 새로운 하드디스크 추가 및 설정하기(/data로 추가)

1. 물리적인 하드디스크 컴퓨터 장착

  • 장착 한 후 /dev 폴더에서 새로 추가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

(ex : /dev/sdb 자동으로 안만들어지는 경우도 있음)

2. 장착된 하드디스크에 파티션 부여

  • fdisk /dev/sdb ( SCSI 0:1 하드디스크를 선택)

  • COMMAND : n (new 파티션 분할)

  • select : p (primary 파티션 선택)

  • patition number : 1 (파티션 번호 1번 선택)

  • Fist sector : (시작 섹터번호 입력 파티션 1개만 추가할 것이므로 그냥 엔터)

  • Last sector : (마지막 섹터번호 입력 그냥 엔터)

  • command : p (설정된 내용을 확인)

  • command : w (설정내용을 저장)​

  • 파티션을 삭제하는 경우 d -> p -> w로 저장하면 삭제됨

  • fdisk -l로 생성 확인

3. 파일시스템 생성 mkfs.ext4 형식으로 dev/sdb1 이라는 파일시스템 생성

  • mkfs.ext4 -f /dev/sdb1

  • 또는 mkfs.xfs -f /dev/sdb1

(새로 파티션을 설정한 sdb 장치를 ext4 파일시스템 으로 만들어서 sdb1 이라는 파일로 생성한다)

5. 사용할 폴더에 하드디스크를 마운트

  • mkdir /data

  • mount /dev/sdb1 /data

  • (data 폴더에 /dev/sdb1 파일을 마운트 하여 사용할수 있다)

6. /etc/fstab에 등록

  • 맨 아래에 해당 문구를 추가한다

  • /dev/sdb1 /data ext4 defaults 1 2

  • 또는 /dev/sdb1 /data xfs defaults 1 2

Comments


Contact Us

연락주셔서 감사합니다 !

14057

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벌말로 126, 2402-1호

(관양동, 평촌오비즈타워)

Tel. 02-555-8422

Copyright © 2020 by Futuresoft Co., Ltd.

bottom of page